윈도우 10을 사용하다보면, 확장명이 보이지 않으시다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전 윈도우인 윈도우XP 혹은 윈도우7 같은 경우에는 파일 이름뒤에 확장명있어 확장명을 변경할때 매우 편리했는데요. 그래서 이번에는 윈도우10 에서 파일 확장명 보이게 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폴더 상단에 "보기"를 클릭한뒤 폴더 "옵션"을 클릭해줍니다. ▲ 폴더 옵션이 나타나면, 상단에 "보기" 메뉴를 클릭합니다. ▲ 그후 "알려진 파일 형식의 파일 확장명 숨기기"의 "체크 해제"후 "확인"을 클릭합니다. ▲ 위 설정을 완료하면, 위와 같이 파일 이름뒤에 확장명에 표시되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파일 확장명 숨기기 해제를 통하여 파일 이름 뒤에 있는 확장명을 변경하여 손쉽게 파일의 확장명을 변경하..
컴퓨터 사양을 확인하는데는 다양한 방법이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확인하는 방법이 있는데요. 보통 컴퓨터 사양을 확인하는데 사용하는 프로그램은 CPU-Z 입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최신 CPU-Z 한글판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CPU-Z 한글판 다운로드 : ▶ CPU-Z 한글판 최신 버전 다운로드 : [바로가기] ▶ CPU-Z 공식 홈페이지 : [바로가기] ▲ 다운로드한 CPU-Z 프로그램인 "cpuz_x64k" 프로그램을 실행합니다. ▲ CPU-Z의 초기화면입니다. CPU 화면이 나타나며 CPU의 정보 및 전압 , 코어클럭 , 캐시 등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상단 메뉴바를 통하여 메인보드 탭으로 이동하면, 메인보드의 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메인보드의 모델명과 칩셋..
지난글에서는 윈도우10 시스템 복원 지점 만드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이번에는 윈도우10 시스템 복원 지점을 통해 시스템 복원을 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시스템 복원 지점을 만들지 않으신 분들은 아래의 글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윈도우10 시스템 복원지점 만들기 (클릭시 이동) ▲ 윈도우 검색창에 "복원 지점 만들기"를 검색후 "복원 지점 만들기"를 실행합니다. ▲ 시스템 보호메뉴에서 이전에 복원지점을 만들어놓은 드라이브를 선택후 "시스템 복원"을 클릭합니다. ▲ 시스템 복원창이 열리면, 하단에 있는 "다음"버튼을 클릭합니다. ▲ 이전에 만들어놓은 복원지점을 선택하신후 "다음"을 클릭합니다. ▲ 복원할 지점이 확인되면, "마침"버튼을 클릭합니다. ▲ 마침 버튼을 누르면, 위와 같이 ..
윈도우를 사용하다보면 갑자기 윈도우의 오류로 인하여 컴퓨터가 이상하게 작동하거나 부팅을 할 수 없는 경우에는 시스템 복원이 필요합니다. 시스템 복원은 복원지점을 이용하여, 시스템을 원상태로 복구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시스템 복원을 하기위해서는 복원 지점이 있어야 합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Windows10 시스템 복원 지점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그럼 Winodws10 시스템 복원 지점 설정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Windows 검색창에 "복원 지점 만들기" 검색후 "복원 지점 만들기"를 실행합니다. ▲ 시스템 보호 메뉴 하단 보호 설정에 있는 드라이버 중 윈도우가 설치되어있는 시스템 드라이브를 선택후 "구성"을 클릭합니다. ▲ "시스템 보호 사용"을 체크 하신뒤 디스크..
컴퓨터로 은행업무를 하거나 공인인증서를 발급받으면, 그때 설치한 키보드 보안 프로그램들 때문에 컴퓨터의 속도가 매우 느려지는 경험을 하신분들이 있으실겁니다. 이런 키보드 보안 프로그램들이 설치 및 실행되고 있으면, 컴퓨터의 속도가 매우 느려지는데요. 그래서 이번에는 이런 보안 프로그램들을 찾아 삭제해주는 구라 제거기 라는 프로그램에 대해서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그럼 이번에는 PC 뱅킹 프로그램 삭제프로그램인 구라 제거기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구라 제거기 다운로드 사이트 (제작자 사이트) : [바로가기] ▲ 우선 위 링크를 통하여, 구라 제거기를 다운로드 받으신후 파일의 압축을 풀면 x64 , x84 폴더가 있습니다. 자신의 컴퓨터 Bit에 맞는 폴더에 있는 구라 제거기 프로그램인 "Hoax Ci..
하드디스크 혹은 외장메모리에서 영구적으로 삭제한 파일을 복구하기 위해서는 전문적인 업체나 비싼 유로프로그램을 사용합니다. 영구적으로 삭제한 파일을 복구하는데 드는 비용도 만만치 않게 비싼데요. 그래서 이번에는 무료로 삭제된 파일을 복구시켜주는 Wise Data Recovery에 대해서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그럼 이번에는 무료 파일 복구 프로그램인 Wise Data Recovery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Wise Data Recovery 공식사이트 : [바로가기] ▶ Wise Data Recovery 다운로드 (EXE) : [바로가기] ▶ Wise Data Recovery (무설치) : [바로가기] ▲ 위 링크를 통해서 Wise Data Recovery 다운로드 및 설치를 하신후 프로그램을 실행하시면..
Windows chkdsk는 check disk의 줄임말이며, Winodws에서 하드디스크 혹은 USB와 같은 메모리의 파일시스템의 오류를 수정해주는 명령어 입니다. 외장 하드디스크나 USB와 같은 메모리가 인식이 불가능하고 포맷하라는 메세지만 나오거나 물리적인 배드섹터가 아닌 배드섹터를 수정하는데 사용이 됩니다. 보통 하드디스크에 문제가 생기면, 컴퓨터 부팅중 자동으로 chkdsk가 실행되지만, 외장 하드디스크나 USB와 같은 메모리는 자체적으로 실행해야 합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Windows chkdsk (체크디스크) 실행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우선 시작 버튼 마우스 우클릭후 "Windows PowerShell(관리자)"를 클릭하여, 실행합니다. (Windows 7 같은 경우에는 윈도우 ..
윈도우7 과 그이전의 윈도우에서는 부팅시 F8키를 연타하면, 안전모드 진입이 가능했으나, 윈도우8 이후부터는 부팅시 F8키를 아무리 연타해도 안전모드로 진입이 불가능했습니다. 윈도우8 이후부터는 컴퓨터에 이상이 생기면 자동으로 복구모드가 실행되기때문에 부팅시 안전모드 진입을 막아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윈도우10 안전모드 진입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윈도우10 안전모드 진입 방법은 크게 3가지가 있지만, 가장 간단한 방법 1가지에 대해서 알아보곘습니다. ▲ 우선 컴퓨터가 켜져있는상태에서 [윈도우키 + I키] 단축키를 이용하여, "Windows 설정"으로 이동합니다. 그후 "업데이트 및 보안"을 클릭합니다. ▲ 그후 좌측 메뉴에 "복구"클릭후 고급 시작 옵션 부분에 있는 "지금 다시 시작"..
USB 혹은 SD카드와 같은 저장장치를 사용하다보면, 오류가 나타날때가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디스크가 쓰기 금지되어있습니다." 라는 오류가 나타나면 USB / SD카드와 같은 저장장치를 포맷하거나 파일을 옮길 수가 없어집니다. 물론 SD카드의 LOCK 부분이 걸려있다면, 이를 풀면되지만 그렇지 않은경우에는 아래 방법을 따라 해결하시길 바랍니다. 그럼 이번에는 디스크 쓰기금지 해제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총 두가지 방법이며, 첫번째 방법으로 해결이 되지 않는다면 두번째 방법을 사용하시면 대부분 해결이 됩니다. (두번째 방법도 안된다면 USB / SD카드의 물리적인 고장입니다.) [쓰기 금지라고 하여도, USB / SD카드내에 있는 파일은 옮길 수 있으므로 파일들은 꼭 백업하시길 바랍니다.] 첫번째..
컴퓨터의 종료버튼을 눌러도 종료가 안되거나, 지연되는 경우가 가끔있습니다. 보통 이럴때는 Task host windows 라는 프로그램이 백그라운드 작업을 중지 하고있어서 입니다. 컴퓨터를 종료할때 시간이 많이 걸리거나, 위와 같은 메세지가 나타나면서 종료가 지연된다면 작업스케줄러에서 간단한 설정을 하셔야 위 종료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그럼 이번에는 Task host windows 종료 문제 해결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우선 "내 PC" 마우스 우클릭후 "관리"를 클릭합니다. (윈도우 검색창에 "컴퓨터 관리"를 검색하여 들어가셔도 됩니다.) ▲ 컴퓨터 관리 좌측 메뉴에 있는 "작업 스케줄러" 클릭후 실행 중인 작업 "CacheTask" 항목을 찾으신 후 더블클릭을 해줍니다. ▲ 그후 Ca..
Windows Vista 이상을 사용하시는 분이라면, Superfetch(sysmain) 라는 서비스 기술이 사용됩니다. Superfetch(sysmain) 서비스는 자주 사용하는 데이터를 캐시 파일을 구성하여, 다음에 실행할때 속도를 향살시키는 서비스로 위 작업을 보통 백그라운드에서 지속적으로 실행됩니다. HDD를 주 디스크로 사용하시는분들에게는 효과가 있는 서비스지만, SSD를 사용하시는분들이라면 오히려 속도 저하가 생길 수 있기때문에 위 서비스를 비활성화 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Superfetch(sysmain) 비활성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우선 작업관리자를 통하여, Superfetch(sysmain) 서비스를 확인하시면, 위와 같이 디스크 영역을 많이 사용..
컴퓨터를 오래 사용하다보면, 이것저것 많은 프로그램들을 다운로드 및 설치를 하게 되고 그러면 컴퓨터 속도가 느려지거나 컴퓨터를 키거나 인터넷을 할때 쓸모없는 광고창들이 뜨기도 합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컴퓨터에서 반드시 제거해야할 프로그램들에 대해서 알려드리려고합니다. 컴퓨터의 속도를 저하시키고 광고창을 뜨게하는 프로그램들이니, [Ctrl + F키] 단축키를 통해서 자신의 PC에 아래의 프로그램이 있다면, 꼭 제거하시길 바랍니다. ※프로그램 제거방법※1. 윈도우 검색창에 "제어판"을 검색2. 제어판에서 "프로그램 제거" 클릭3. 프로그램 제거 검색창에서 아래의 프로그램 검색후 해당 프로그램 제거 A Abouttopbar : 익스플로러 창의 상단 바에 광고ADDENDUM(키워드플러스바) : BHOAddend..